반응형 영어 관련 지식/기본적이며 중요한 동사53 '불을 붙이다, 불을 끄다' 영어로 '불을 붙이다, 불을 끄다' 영어로 '불을 켜다/끄다'에서의 그 불 말고 (이 경우의 '불을 켜다/끄다'는 영어로 turn(switch) on/off the light이라고 한다.) 말 그대로 불 - fire. 이 불을 붙이고 끄는 것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을 할까? 아래와 같다. '불을 붙이다' 영어로 - set A on fire / set fire to A / make a fire / light 뭐가 이렇게 많나 싶겠지만, 실제로 '불을 붙이다'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이 꽤 많다. 그리고 각각의 표현이 실제로 조금씩 다른 뉘앙스로 쓰이기도 한다. 그래서 그 작은 차이를 알고 표현을 쓰는 것이 더욱 자연스러운 사용일 것이다. set fire to A - 불을 '지르다'의 느낌 말 그대로다. 흔히 우리가 '.. 2022. 5. 13. '바람이 불다', '풍선을 불다', '촛불을 불다' 영어로? - 'blow'와 그 외 관련 표현 '바람이 불다', '풍선을 불다', '촛불을 불다' 영어로? - 'blow'와 그 외 관련 표현 '바람이 불다'는 영어로 The wind 'blows'라고 한다. '풍선을 불다'는 영어로 'Blow up a ballon'이라고 한다. 생일날 케이크 위의 촛불을 불어서 끌 때는 'Blow out candles'라고 한다. 솔직히 세 표현 모두 그냥 'blow'라고만 써도 다 알아듣긴 할 것이다. 그게 아니라면, 사실 그냥 저대로 외워서 쓰면 그만이고. 하지만 그래도 어차피 써먹을 영어 표현이면 왜 그런 건지, 각각이 어떤 차이가 있는 건지를 알고 쓰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. 아래와 같다. blow - 가장 기본적인 '불다'의 의미 - 자동사, 타동사 모두 가능. 말 그대로다. 워낙 기본적인 형태.. 2022. 5. 3. '잘하다, 잘못하다' - 영어로는? '잘하다, 잘못하다' - 영어로는? 우선 여기서 다루는 '잘하다, 잘못하다'는 '나 축구 잘 해', '나 농구 잘 못해' 등의 표현에서 쓰이는 그런 의미의 표현이 아니라는 점을 먼저 명시해야 할 것 같다. ('be good at / be poor at'과 같은 표현이 아니라는 것) '할 거면 잘해라', '너 뭘 잘못했어?'와 같은 예시와 같이, 무언가를 '제대로, 올바르게' 하냐 못 하냐에 따라 나뉘는 그 '잘하다, 잘못하다'이다. *어차피 구별하기 위해 말이 나온 김에 한 가지 더 설명을 붙이자면, 우리말 문법 상 전자의 경우(위의 축구 예시), '잘 하다', '잘 못하다'로 띄어쓰기가 있어야 하고, 후자의 경우(이번에 다룰 내용), '잘하다, 잘못하다'로 둘 다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다. 각각의 영어.. 2022. 4. 29. '맞히다', '틀리다' - 영어로는? '맞히다', '틀리다' - 영어로는? (먼저 우리말을 잠깐 설명하자면, '맞추다/맞히다' - 이걸 또 많이들 헷갈려하는데, '맞추다'는 A와 B를 서로 맞추다', 즉 비교대조 개념으로 쓰는 것이고, 문제 등이 맞고 틀리고에서는 '맞히다'가 올바른 표현이다) 정말로 너무나 쉬운, 원어민이라면 아마 유치원생만 되어도 대부분이 알 만 한 표현인데도 불구하고 영어를 오래 배운 사람도 간혹 영어로 자연스럽게 쓰지 못하는 표현이 종종 있다. 그중 대표적인 예 중 하나로 '맞히다'와 '틀리다'가 있지 않을까 싶다. '올바른/맞은'이 right, '틀린'이 wrong이라는 것은 다들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. 근데 내가 'A라는 문제를 맞혔다'라고 막상 영어로 표현하려고 하면, 딱 정형화된 표현을 알지 않는 이상 이 표현.. 2022. 4. 22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