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tag('config', 'UA-222730894-1'); '영어 관련 지식/일반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3 Page)
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영어 관련 지식/일반113

'자막' 영어로 - Subtitle? CC? (여기서 CC는 무엇의 줄임말?) '자막' 영어로 - Subtitle? CC? 꼭 외국어에 한정되지 않더라도, 요즘은 우리말로 된 유튜브를 봐도 자막이 기본적으로 나올 때가 많다. 이 '자막'을 영어로 뭐라고 하나? 묻는다면 열에 아홉은 'subtitle(s)'라고 할 것이다. 그리고 subtitle은 자막이 맞다. 제일 일반적으로 쓰이는 말이다. 이 단어의 형성은 당연히 sub + title이다. below(아래)를 뜻하는 'sub'과 제목을 뜻하는 'title'이 합쳐진 단어인데, 우선, subtitle이라는 단어에서 가장 직관적으로 가능한 해석은 '부제'라는 뜻이다. (title 자체가 일차적으로 '제목'이라는 뜻이니까.) 말 그대로 '부차적인 제목'이라는 건데, 킹스맨: 시크릿 에이전트 위와 같은 영화 예시가 있으면 '킹스맨'이 .. 2022. 3. 1.
'약어/약자' 영어로? - abbreviation / initial / acronym 차이는? '약어/약자' 영어로? - abbreviation / initial / acronym 차이는? 무언가를 더 짧게 나타내기 위해 줄인 것을 '약어', 혹은 '약자'라고 한다. 맥도날드를 맥날이라고 부르거나 버스 카드 충전을 버카충이라고 부르거나 케이스 바이 케이스를 케바케라고 부르거나 이런 것들이 모두 한국말의 약어/약자라고 볼 수 있겠다. 다른 말로 '줄임말'이라고도 한다. 이제 영어로 가보면, 이에 해당하는 개념이 크게 abbreviation / initial / acronym 이렇게 3개가 있다. 이게 서로 다른 걸까? 항상 그래왔듯,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이 분명 있으니까 글로 다루는 것이다.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본다. 그림판으로 손 떨면서 만든 엉망진창인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... 2022. 2. 24.
known as, known by, known for, known to -각각의 뜻과 그 차이는? known as, known by, known for, known to -각각의 뜻과 그 차이는? as/to/for/by 에 따라서 표현이 조금씩 달라지는 표현들이다. 이 표현들에 대해서 한번 다뤄본다. 우선 위 4개 표현 각각의 뜻부터 바로 구분하자면, be known as: '~~로 알려지다' (별칭/별명) be known by: '~~를 통하여 알 수 있다' / '~~로 알려지다' / '~~에 의해 알려지다' be known for:'~~로 유명하다' be known to: (1) noun(명사) - ~에게 알려지다' (2) R.V(동사원형) - '~~하는 것으로 알려지다' 이렇게 된다. 그러면 각각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보자면, 아래와 같다. 1. be known as: '~~로 알려지다' .. 2022. 2. 23.
'점' 영어로 - point/ dot/spot 차이?? (cf. '얼굴에 나는 점'은 영어로?) '점' 영어로 - point/ dot/spot 차이 '점'이라는 단어 한 글자가 우리말로 몇 가지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이지만 (어떤 점이 마음에 안 들어?, '고기 한 점만 줘라', '얼굴에 점이 생겼다'...) 이번에 다루는 '점'은 '점' 하면 가장 먼저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것 - 사람 얼굴에 쓰이는 것이든, 글자에 쓰이는 것이든 수학에 쓰이는 것이든, '.' ← 이렇게 생긴 무언가를 통틀어서 다뤄본다. '점'은 경우에 따라 'point', 'dot', 'spot' - 주로 이렇게 3가지 표현으로 쓰이는데, 역시나 이 세 가지 표현이 쓰이는 경우를 구별을 해야 한다.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른 경우에 쓰이기 때문이다. 우선은 '점'하면 아마 가장 먼저 떠오를 것 같은 'point'부터. point가 .. 2022. 2. 1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