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tag('config', 'UA-222730894-1'); '영어 관련 지식/일반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0 Page)
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영어 관련 지식/일반113

'능력' 영어로 - ability / capability / capacity 차이점 '능력' 영어로 - ability / capability / capacity 차이점 분명 셋 다 '능력'이라고 뜻을 알고 있을 텐데, '그래서 저 3개 뜻의 차이가 뭐냐?'라고 물으면 쉽게 나오는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. 그리고 실제로 이 3개를 무 자르듯 구별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. 개인적으로는 다른 점보다 같은 점이 훨씬 더 많다고 보긴 한다. 그래도 가능한 선에서 그 차이에 대해 다뤄본다. Ability = Actual skill, either mental or physical; native or acquired. 즉, 머리를 쓰는 것(mental)이든, 육체적인 것이든(physical) 따로 구분하지 않고, 그 능력이 선천적인 것이든, 후천적인 것이든 그것 또한 구분하지 않는.. 2022. 3. 19.
'싸인' 영어로 - Sign? Signature? Autograph? '싸인' 영어로 - Sign? Signature? Autograph? 어디 어디에 '싸인'(정화한 표현은 '사인')해주세요 할 때 그 '싸인'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? 여기서 크게 sign / signature / autograph 세 가지로 나누어서 알아보려 한다. 우선 sign과 signature는 딱 봐도 뭔가가 비슷해 보인다. 그리고 실제로 동일한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는 단어들이다. 단지 단어의 품사가 다를 뿐. 여기서 sign은 동사다. (대표적으로 '신호'라는 뜻의 명사형도 물론 있지만, 이 글의 맥락과는 맞지 않다) 그리고 signature는 명사다. Sign은 ~에 '서명/싸인을 하다'라는 뜻이다. signature는 '서명/싸인'이라는 뜻이다.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'서명/싸인'이라 함.. 2022. 3. 16.
'참다, 견디다' 영어로 - tolerate/ stand / bear / put up with / take / hold '참다, 견디다' 영어로 - tolerate/ stand / bear / put up with / take / hold 이 표현 또한, 우리나라 사람뿐 아니라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거의 모든 사람이 '무조건' 헷갈리는 유형이라고 생각한다. 다른 나라 언어까지는 잘 모르겠는데, 한국어 기준으로 생각하면 진짜 골치가 아프다. 사실 넓게 따지자면, 저 모든 표현이 '참다' 단 한 개 표현으로 해석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. 우리말로 1개 표현이, 영어로 가면 6개가 된다. 그리고 저 6개는 꽤나 구별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냥 전부 동의어겠지 하고 쓰면, 운이 좋으면 진짜로 동의어가 맞는 경우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, 즉 확실히 구분되는 뉘앙스인 경우에는, 원어민 입장에서 '어색함'은 분명 느껴질 것.. 2022. 3. 15.
'맛' 표현 (달콤한, 짠, 싱거운, 매운, 신, 쓴) - 영어로 (기초) '맛' 표현 (달콤한, 짠, 싱거운, 매운, 신, 쓴) - 영어로 맛을 표현하는 데에는 아마 수십 가지의 표현이 있겠지만, 여기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기초적인 표현에 한정해서 다뤄보도록 한다. '달콤한'- 모르는 분이 있을까 싶다. '달콤한'은 영어로 'sweet'이라고 한다.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쓰이는 표현이다. 동의어가 굉장히 많지만, 동의어 중에서도 가장 자주 쓰이는 것은 'sugary'라는 표현이다. (단어를 딱 보면 알 수 있겠지만, '설탕(sugar)이 많이 들어간' 정도의 뜻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.) '짠'은 영어로 'salty'라고 한다. 바로 위 sweet의 동의어인 sugary와 같은 논리로 이해하면 된다. '소금(salt)이 많이 들어간'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. '싱거운'.. 2022. 3. 12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