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tag('config', 'UA-222730894-1'); '영어 관련 지식/일반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1 Page)
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영어 관련 지식/일반113

'연장하다/확장하다, 늘리다' 영어로 - extend와 expand의 차이 '연장하다/확장하다, 늘리다' 영어로 - extend와 expand의 차이 우선 글에 앞서, 엄밀히 국어 문법으로 따지면 '늘이다/늘리다'이 둘을 구별을 해야 한다고 한다. '늘이다'는 일반적으로 무언가의 '길이'에 대해서, '늘리다'는 일반적으로 무언가의 '부피'에 대해서 쓰는 것이라고 한다. 그런데 위의 설명대로 100% 일치하는 건 또 아닌 것 같다. 영어에 대해 설명하는 블로그이고 국어는 곁가지도 설명할 뿐, 내가 국어 전문가는 아니라서 그냥 여기서는 적당히 '늘리다'로 통일해서 설명한다. 늘이다/늘리다 관련 자세한 차이는 따로 검색을 부탁드린다. 어쨌든, 'extend'와 'expand' 둘 다 '늘리다'라고 해석이 가능하다. 그런데 이 둘 사이에는 꽤나 큰 차이가 있다. 차이는 아래와 같다. .. 2022. 3. 11.
'코드' 영어로 - code / cord / chord 차이 '코드' 영어로 - code / cord / chord 차이 우리말로는 동음이의어(homonym, 글자의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르며 어원적으로 서로 관련이 없는 낱말)인데, 영어로는 표기 자체가 다른 단어(발음은 같은 경우도 있지만)가 꽤 있다. 단순한 예로,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. 폰(전화기) / 폰(체스 말 중 하나) - phone, pawn, 콘(고깔) / 콘(옥수수) - cone, corn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꽤 대표적인 것 하나를 다뤄본다. 우리 말로는 모두 똑같이 '코드'라고 쓰고 읽는데(한국어는 애초에 쓰는 대로 읽으니, 하나마나한 말이긴 하지만) 영어로는 이 '코드'가 code일 수도, cord일 수도, chord일 수도 있다. 설명에 앞서, '발음' 측면에서 보면, code / .. 2022. 3. 10.
'가정하다, 추정하다' 영어로 - assume, suppose, presume 차이? '가정하다, 추정하다' 영어로 - assume, suppose, presume 차이? 이건 진짜 영어를 배우는 전 세계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것 같다.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이거를 단 한 번에 이해하는 사람은 진짜 거의 없을 것이다. 있다고 해도 정말 극소수의 타고난 천재들만 한 번에 이해를 하지 않을까 싶다. 이번에 다룰 assume/suppose/presume 특징에서는 오로지 각 단어가 갖고 있는 '가정하다/추정하다/생각하다' 개념으로서의 의미만 다룬다. 예를 들어, assume의 다른 뜻인 '권력/책임을 맡다'와 같이, 헷갈릴 여지가 없는 의미는 제외한다.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다. 1. 우선 'assume'이다. 이 'assume'은 기본적으로 '근거가 있든 없든 + (근거가 있다고 .. 2022. 3. 7.
'멸종하다' 영어로 - 'become/go extinct'와 'die out' (cf. '멸종위기' 영어로) '멸종하다' -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? 은근히 많은 사람들이 'extinct'라고 답을 하지 않을까 싶다. 그런데 extinct는 '형용사'다. '멸종된,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' 이라는 뜻이다. 명사형인 '멸종'은 영어로 'extinction'이다. '멸종하다'는 영어로 'become/go extinct'라고 해야지 맞는 표현이다. 예문을 살펴보자. extinct - 형용사 - '멸종된,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' - Servants are now almost extinct in modern society. - Buffalos are almost extinct because of carelessness. extinction - 명사 - '멸종' - Panda bears have been close to.. 2022. 3. 7.
반응형